구글코리아와 AWS코리아를 방문한 후 2주 뒤, 교수님과 팀원들을 만나 MS코리아에서 진행되는 AI성과 공유회에 참석하러 방문하였다.
MS education Asia 총괄 대표님의 강의를 들은 후
ms코리아 교육부분 아시아 총괄대표님인 Larry nelson을 만나 강의를 들었다.본인이 인생을 어떻게 살아왔고 가족사업을 하면서 본인이 경험했던 많은 혁신과 변화를 들려준 후 비판적이고 논리적인 사고 능력을 강조해주셨던 게 기억에 남는다.내가 얻고 있는 많은 정보들을 내가 무엇에 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고려하고 이해하고 테스트하는 것이 비판적 사고 능력이다. 많은 도전을 하면서 스스로 감각을 익히고 개발하고 문제에 적용하라는 말씀을 해주셨다. 요즘같이 정보가 많은 세상에서 정보를 얻기엔 쉽지만 내가 알고있는 정보인지 확인하는 작업은 스스로 하지 않았던 것 같다.특강을 듣고 정보를 얻으면 내가 진짜 알고 있는지 아닌지 생각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말씀하시면서 빔프로젝터에 실시간으로 영어가 한국어로 번역이 되는 기술이 보여졌는데 아직 완성도는 떨어지지만 몇년 뒤 혹은 몇개월 뒤 정말 유용하게 쓰일 거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Microsoft 생성형AI 특강을 들은 후
생성형ai 특강에서는 기업 주체 강연이라 요약해서 정리하면 gpt가 나오는 버전마다 성능차이가 크기 때문에 계속 준비하는 태도도를 가져야 하고 ms에서 최근 내놓은 ai.azure.com 웹사이트에서 다양한 생성형AI 서비스들을 체험할 수 있고 오픈된 데이터셋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다양한 API를 연동하여 자신의 음성,파일, 아바타 등 생성형 AI 커스텀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생성형AI를 활용하기 위해 학교 무료 계정을 사용하여 스몰 데이터셋으로 단기 프로젝트를 해봐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데이터를 추가하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하는 기술은 생성형 AI기술이 계속해서 발전함에 따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하는 작업들을 공부하면 좋다고 강조해주셨다. 그리고 클라우드 영역에서 서버리스(Serverless), 노코드(nocode), 로우코드(lowcode)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고 AI의 성장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앞으로 몇년 뒤 기획자나 UX/UI 디자이너들이 개발자없는 팀 구성을 할 수도 있다고 얘기를 해주셨다.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는 모르지만 현재 AI의 발전 속도로 보아 우스갯소리로 들리지 않는다는 것이 신기하면서도 생각이 많아졌다.
그리고 AI모델이 해석하기 위해 정제된 데이터를 모델에 넣어주는 게 중요해지기 때문에 데이터의 구조를 이해하고 raw data들을 가공하는 데이터 아키텍트 또한 공부를 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이제는 누구나 사용가능한 나의 데이터를 이용한 오픈AI 시장이 나오기 때문에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정말 중요해졌다.
학생들의 해커톤 발표를 듣고 느낀 점 Summary
- 대회 취지에 적합한 아이디어 선정
- 문제정의 단계에서 scamper기법 활용
- 비즈니스 모델 접근 방법 -business model canvas 선순환 구조
- 시각화 자료&다양한 분석 기법 활용은 청중들에게 신뢰감을 준다
- 개발 과정,개발 동작 흐름,실제 구현 가능 여부 한계점 제시
해커톤에서 수상한 학생들이 발표를 해서 배운점은 앞으로 해커톤이나 공모전같은 대회에 나가게 된다면 어떤 식으로 자료조사를 하고 카테고리를 작성해야 하는지 많은 것들을 보고 느꼈다. 일단 각 단계에서 청중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는 통계자료 및 시각화 자료,분석 기법 등 발표를 한 학생들의 준비와 노력들이 느껴졌다. 그리고 완성을 못했더라도 한계점을 제시하고 실제 구현 가능 여부,개발 과정들을 보여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는 것도 깨달았다. 수상을 하지는 못했지만 상보다 많은 것들을 얻어가는 것 같아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MS코리아 기업방문 후
AI성과공유회에 참석 후에 MS코리아에서 만든 무드등도 받고 햄버거도 받아서 교수님과 팀원들과 같이 먹고 얘기를 나누며 끝났다. 구글코리아,AWS코리아,MS코리아 기업을 방문한 후 클라우드에 대한 생각이 넓어졌고,기업들에서 강조하는 마인드와 태도에 대해 배우면서 한층 더 생각이 풍부해진 거 같은 느낌이 든다. MS코리아에서는 클라우드와 생성형 AI와 관련해서 AI가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어떤 것들을 공부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알려준 것 같아 좋았다. 그리고 생성형 AI인 MS coplilot이 MS office제품들은 excel,ppt,word와 전부 결합될 거라 하였는데 사용법과 기능들을 간단하게 보았는데 이게 돼? 싶을 정도로 혁신적인 기술들을 실제로 앞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점이 놀라웠다.
그리고 해커톤 수상자들의 발표를 들으면서 배운 것들을 활용할 정도의 수준으로 가려면 공부,자료조사,발표준비 등 다방면으로 준비할 것들이 많지만 어떻게 준비해야할 지 조금이나마 감이 온 것 같아 나에게 긍정적인 동기부여와 자극을 준 계기가 되었다.
'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시애틀 Microsoft 본사 기업방문 후기 (1) | 2024.02.11 |
---|---|
[데이터리안]리텐션Retention (1) | 2024.02.08 |
데이터리안 입문반 25기 후기 (1) | 2024.02.03 |
AWS코리아 방문 후기 (0) | 2024.01.21 |
구글코리아 방문 후기 (1) | 2024.01.21 |